-
한강 작가 남편 결혼 배우자 소설가 홍용희 교수 집안카테고리 없음 2024. 10. 11. 11:11
“역시 타고난 문학가”… 한강의 집안 화제
-2024. 10. 11
소설가 한강(54)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자 그의 배경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의 집안은 문인 가족으로 유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강의 아버지는 소설 ‘아제아제 바라아제’ ‘추사’ ‘다산의 삶’ 등을 펴낸 소설가 한승원(85)이다. 오빠 한동림도 ‘유령’ 등을 펴냈으며 남편 홍용희 경희사이버대 미디어문예창작과 교수는 문학평론가다. 남동생 한강인도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한 후 소설을 쓰고 만화를 그리고 있다.
한편 한강은 1970년 11월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풍문여고를 거쳐 연세대 국문과에 졸업하던 해인 1993년 계간 ‘문학과 사회’ 겨울호에 ‘서울의 겨울’ 등 시 4편이 당선되며 시인으로 등단했다. 1994년에는 단편소설 ‘붉은 닻’으로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며 소설가로 데뷔했습니다.
이후 그는 이상문학상(2005), 동리·목월문학상(2010), 황순원문학상(2015) 등을 받았다. 아버지 한승원도 1988년 ‘해변의 길손’으로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한승원은 과거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딸 한강은 전통사상에 바탕을 깔고 요즘 감각을 발산해 내는 작가”라며 “어떤 때 한강이 쓴 문장을 보며 깜짝 놀라서 질투심이 동하기도 한다”고 고백한 바 있다.
한강을 세계적으로 알린 작품은 장편소설 ‘채식주의자’(2007)다. 2004년 계간 ‘창작과비평’에 연재했던 소설을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이 소설로 한강은 국내 작가로는 처음으로 2016년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임우성 감독을 통해 영화로도 만들어졌습니다.
‘채식주의자’는 격렬한 꿈이 뇌리에 박혀 육식을 멀리하다 스스로 나무가 되어간다고 믿는 영혜가 주인공으로 한 소설 3편을 묶은 연작 소설집이다. 한강은 “이상(李箱)의 메모 중 ‘나는 인간만이 식물이라고 생각한다’는 문장을 오랫동안 기억했다가 결국 식물이 되고 싶어 하는 인간의 이야기를 썼다”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강의 문학 활동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은 1980년에 일어난 광주민주화운동이다. 열세 살 때 광주민주화운동에서 학살된 사람들의 사진집을 본 후 인간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하게 됐다고 한다. 그의 개인적인 경험은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소설 ‘소년이 온다’(2014)로 풀어냈습니다.
스웨덴 한림원은 10일(현지시간) 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한강을 선정했다. 한국인이 노벨상을 받은 것은 지난 2000년 평화상을 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랍니다.